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또 골프장서 ‘카트 털이’…수풀에 숨었다가 훔쳐가

한인 회원을 다수 보유한 오렌지카운티 지역 유명 회원제 골프장인 로스코요테스 컨트리클럽에서 절도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달 30일 라하브라 지역 웨스트릿지 골프장에서 발생한 카트 털이 사건〈본지 4월 4일자 A-3면〉에 이어 일주일 만에 두 번째다.   이 골프장의 한 회원은 “4일 오후 12시 30분쯤 레이크 7번 홀에서 골퍼들이 플레이하는 동안 절도범들이 멀리 세워져 있던 카트로 다가가 가방 안에 있는 귀중품을 가져가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절도범은 수풀 속에 숨어 있다가 몸을 숙이고 몰래 접근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피해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사건 내용은 카카오톡 메시지 등을 통해 로스 코요테스 컨트리클럽 소속 여성 회원들에게 전달됐다.     메시지에는 “이 일을 경찰에 리포트 할 것”이라며 “플레이를 하면서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 더 큰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신경 써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와 관련, 본지는 로스 코요테스 컨트리클럽 측의 사건 경위를 듣기 위해 연락을 시도했지만 5일 오후 2시 현재 답변을 받지 못했다.   최근 골프 카트 털이 사건이 계속 발생함에 따라 한인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달 30일 웨스트릿지 골프장에서도 한인 7명이 지갑 등을 카트에 두고 골프를 즐기다가 절도범들로부터 현금을 도난당했다. 당시 피해자들은 “털린 돈이 전부 약 2500달러 정도”라고 주장했다.   골프 전문가들은 ▶귀중품이나 현금 등은 골프장에 가져오지 말 것 ▶골프장 탈의실의 사물함 비밀번호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라운드 도중 골프 카트를 항상 시야에 들어오는 가까운 곳에 둘 것 ▶화장실 이용 등 부득이하게 자리를 비워야 할 경우 일행 중 1명은 골프백 등이 방치되는 상황을 막을 것 ▶차량 뒷좌석 등 눈에 보이는 곳에 클럽 등을 놓지 말 것 등의 주의사항을 알렸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골프 카트 최근 카트 회원제 장인 한인 회원

2023-04-05

우크라이나 난민 돕자 4000불 모금

 부에나파크의 랄프 B. 클라크 공원(이하 랄프 공원)에 매일 아침 모여 운동하는 한인, 타인종 주민들이 우크라이나 난민을 위해 4000달러를 기부했다.   훈훈한 미담의 주인공은 ‘헬스 엑스사이즈 랄프 파크 클럽’ 회원들이다. 주로 부에나파크, 풀러턴, 라미라다 주민들인 회원 100명은 지난 5일 오전 8시에 모여 십시일반 기부금을 모았다.   모임의 리더 조정명씨는 하루 전인 4일 회원들에게 모금을 제안했다. 조씨는 우크라이나의 피란민, 특히 아동과 여성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그들을 돕자고 역설했고, 다수의 회원이 이에 호응했다.   이렇게 시작된 모금엔 회원 중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한인 외에 대만계, 백인 등 타인종 10여 명도 참여했다.   이날 랄프 공원은 대규모 기금 모금 행사를 방불케 했다. 한 회원은 태극기와 성조기, 우크라이나기를 가져다 놓았다. 모임의 리더 격인 토머스 포스마이어의 아들은 우크라이나 빵을 만들어 회원들에게 돌렸고, 한 한인 회원은 도넛과 커피를 제공했다.   써니 박 부에나파크 시장, 영 김 연방하원의원의 보좌관 해나 김씨와 사라 멘도사도 모임에 참석, 회원들을 격려했다.   이날 모임에선 대만계 매리 리우가 쾌척한 1000달러를 포함해 2660달러가 걷혔다. 포스마이어가 1340달러를 보태 총 4000달러를 만들었다.   조정명씨와 포스마이어는 8일 기부금 체크를 뉴욕의 유니세프(국제연합아동기금) 본부에 우송했다.   7년째 운동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이성춘(라미라다) 회원은 “한국도 6·25를 겪지 않았는가. 우크라이나 난민들의 처지에 나를 포함해 많은 회원이 공감했다”고 모금 당시의 분위기를 전했다. 이씨에 따르면 헬스 엑스사이즈 랄프 파크 클럽은 아침 운동을 하는 이들이 늘면서 10여 년 전에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모임이다. 회원들을 위해 앞에서 체조를 주도하는 이가 리더로 여겨지긴 하나, 회비도 없고 회장도 없다.   이 공원은 3개의 한인 마라톤 클럽 훈련 장소이기도 하다. 이씨는 “랄프 공원에서 운동하는 이들 가운데 90%는 한인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임상환 기자우크라이나 난민 우크라이나 난민들 성조기 우크라이나 한인 회원

2022-03-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